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안구운동 뇌신경병증과 치매 위험 간 연관성 연구 Early-Onset Ocular Motor Cranial Neuropathy Is a Strong Predictor of Dementia - OphthalmologyOphthalmology 2024년 3월호 Original article 입니다. 이 연구는 '새로 진단된 안구운동 뇌신경병증(Ocular Motor Cranial Neuropathy, OMCN)'을 가진 사람들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은지 평가하기 위해 대한민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KNHIS)의 데이터를 활용한 전국 규모 코호트 연구입니다. 2010년부터 2017년 사이에 OMCN 진단을 받은 60,781명 중 이전에 안구운동 장애 관련 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을 제외한 52,076명 중 OMCN 진단 2년 이내 국가건강검진(NHSP)을 받은.. 2024. 11. 15.
녹내장 관리에서 검사와 치료 변경의 연관성 Changes in glaucoma management following visual field testing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BJO 2023년 8월호 수록 논문입니다. 녹내장 치료에서 검사의 최적 활용이 명확하지 않은 점에 대해 본 연구는 검사와 치료 변경 간의 시간적 연관성을 평가했습니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국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후향적 관찰 연구로, 40세 이상 녹내장 외래 환자 중 Humphrey 시야검사(HVF)와 광학 단층 촬영(OCT) 검사를 받은 환자를 분석했습니다. 검사를 받은 이후 90일 이내에 수술이 시행되었거나 30일 이내에 약물 변경 또는 레이저 .. 2024. 11. 13.
황반변성의 예방과 메트포르민 및 다른 약물의 상호작용 RETINARetina 2024년 2월호 Original study 로, 이전 연구에서 메트포르민이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발생 위험을 낮추는 보호 효과를 보인 바 있습니다.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 집단에서 메트포르민과 다른 약물의 상호작용이 AMD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하위 그룹 분석입니다.Merative MarketScan 상업 및 메디케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사례-대조군 분석입니다. 55세 이상의 AMD를 새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매칭하였으며, AMD의 알려진 위험 요인들을 조정하고 메트포르민과 1) 인슐린, 2) 설포닐우레아, 3) 글리타존, 4) 메글리티나이드, 5) 스타틴 간의 상호작용을 다변수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로 분석했습니다.당뇨병이 있는 AMD 환자.. 2024. 11. 13.
온열펄스 치료와 안구건조증, 마이봄샘기능장애 Thermal Pulsation in the Manage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Dry Eye - Ophthalmology Ophthalmology 2023년 12월 technology assessment로, 이번 연구는 열펄스(thermal pulsation) 기술(ex. 리피프로)이 마이봄선 기능장애(MGD)와 안구건조증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고 안전한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열펄스 치료가 무치료 또는 일반적인 온찜질 및 눈꺼풀 위생 관리와 비교해 어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습니다.2022년 6월과 2023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영어로 작성된 열펄스 관련 연구 논문을 검색하였습니다. 총 .. 2024. 11. 13.
각막확장증과 정신과적 질환 Psychiatric Comorbidities Associated With Keratoconus | Cornea | JAMA Ophthalmology | JAMA NetworkJAMA Ophthalmology 2023년 12월호의 Original investigation 입니다. 이 연구는 이스라엘 군 복무 중인 청소년 및 성인 약 94만 명의 의료 기록을 기반으로, 정신과적 동반 질환과 각막확장증(keratoconus)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대규모 횡단 연구입니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반복적인 눈 비빔과 관련된 각막확장증의 위험 요인을 파악해, 향후 중재 연구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는 데 있습니다.전체 940,763명의 평균 나이는 17.56세였으며, 59.3%가 남성이었습니다. 각막확장증은 총 1,53.. 2024. 11. 13.
아동기의 아트로핀 점안 효과 Topical Atropine for Childhood Myopia Control: The Atropine Treatment Long-Term Assessment Study | Optics and Refraction | JAMA Ophthalmology | JAMA NetworkJAMA Ophthalmology 2024년 1월호에 수록된 논문입니다. 임상시험에서 소아 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국소 아트로핀 점안제 사용에 대한 단기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았으며, 장기 안전성이나 기타 결과에 대한 보고는 적었다고 하며 소아 근시 조절을 위한 국소 아트로핀의 장기 안전성과 효과에 대해 보고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아트로핀으로 근시 치료 (ATOM) 1 및 ATOM2 무작위 임상시험의 장기 관찰 연구로, A.. 2024.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