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 2024년 5월 Original article 입니다. SDDs가 확인된 20명의 환자(총 33안)를 분석한 후향적 사례 연구이며 단일 촬영으로 얻은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SD-OCT) 이미지를 활용해 황반 드루젠과 망막하 드루제양 침착물(Subretinal drusenoid deposits, SDDs)의 분포를 분석하였습니다. SD-OCT 구조적 이미지는 브루크막 위 48~88 µm 위치에서 40 µm 두께로 재구성되었습니다. ETDRS(초기 당뇨망막병증 치료 연구) 격자와 간상세포/원추세포 밀도 지도를 SD-OCT 이미지에 중첩하여 SDD와 황반 드루젠의 다양한 아형 분포를 평가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총 31안(94%)에서 드루젠과 SDD가 삼중 영역 분포 패턴을 보였습니다.
-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의 드루젠은 중앙 원에 주로 분포했습니다.
- 점(dot) 형태의 SDD는 ETDRS 격자의 내측 원과 외측 원의 안쪽 부분에 주로 위치했습니다.
- 리본(ribbon) 형태의 SDD는 외측 원과 ETDRS 격자 외부 영역에 분포했습니다.
- 특히 드루젠은 원추세포 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에 위치했으며, 리본 SDD는 간상세포 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에 위치했습니다.
-점 형태의 SDD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혼합된 중간 영역에 분포했습니다.
결론으로 점 및 리본 형태의 SDD와 황반 드루젠은 특징적인 삼중 영역 분포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병변의 위치는 망막 내 간상세포와 원추세포 밀도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며, 이는 해당 광수용체 아형의 다양한 병리생리적 활동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막 미세혈관 변화와 관상동맥심장질환 발생 위험 (0) | 2024.11.18 |
---|---|
비삼출성 폴립형 맥락막혈관병증의 특성과 삼출성 예측 (1) | 2024.11.18 |
신생혈관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색소상피박리 두께가 시력 예후에 미치는 영향 (0) | 2024.11.18 |
광각안저촬영을 활용한 증식당뇨망막병증 레이저 치료 평가 (0) | 2024.11.18 |
황반변성의 예방과 메트포르민 및 다른 약물의 상호작용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