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aojournal.org/article/S0161-6420(24)00052-6/abstract
Ophthalmology 2024년 7월호 Original article로, 제1형 당뇨병(T1DM) 및 제2형 당뇨병(T2DM) 환자에서 원발 개방각 녹내장(POAG)과 당뇨망막병증(DR) 발병 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입니다. TriNetX Research Network의 글로벌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입니다. 연구 대상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총 4,393,300명의 DM 환자 중 POAG가 있는 44,359명, POAG가 없는 4,393,300명입니다. 연구 기간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1일까지이며,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해 연령, 성별, 인종/민족, 혈액 지표, 병력 및 안과 진료 이력을 기준으로 두 군을 39,680명씩 균형을 맞췄습니다.
당뇨 및 녹내장 환자 데이터를 1년, 5년, 10년 간격으로 비교한 결과입니다.
- 제1형 당뇨병 환자(T1DM): POAG 환자는 10년 후 DR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POAG 환자의 경우, 전체 DR 발생 위험 비율(RR)은 4.12(95% CI, 3.05–5.57), PDR 발생 위험 비율(RR)은 7.02(95% CI, 3.62–13.61)이었습니다.
- 제2형 당뇨병 환자(T2DM): POAG 환자 또한 10년 후 DR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DR 발생 위험 비율(RR)은 2.47(95% CI, 2.28–2.68), PDR 발생 위험 비율(RR)은 3.82(95% CI, 3.09–4.70)로 나타났습니다.
- POAG가 있는 환자의 10년 DR 발생률은 5.45%였고, POAG가 없는 환자는 2.12%로, POAG 환자군에서 DR 발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조정된 위험비[aHR] 2.33, 95% CI, 2.14–2.53).
결론으로 이 연구는 POAG가 DM 환자에서 DR 발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DM 환자에서 POAG가 동반될 경우, DR에 대한 철저한 검진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을 유발하는 인과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망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각안저촬영을 활용한 증식당뇨망막병증 레이저 치료 평가 (0) | 2024.11.18 |
---|---|
황반변성의 예방과 메트포르민 및 다른 약물의 상호작용 (0) | 2024.11.13 |
젊은 근시환자의 주변부 망막이상 (2) (1) | 2024.11.07 |
젊은 근시환자의 주변부 망막이상 (1) (0) | 2024.11.07 |
부등상시를 동반한 망막앞막 환자에서 조기 수술적 치료의 효과 (1) | 2024.11.07 |